독자의 눈길을 받지 못하면 아무리 잘 쓴 글이라도 잔혹하게 버려집니다. 밤 꼬박 새서 글/영상 만들어 올렸는데, 아무도 안 보거나 클릭 수 10개. 유튜브, 블로그, SNS 볼 것이 넘쳐나는 콘텐츠의 범람하는 시대, 그럴수록 글쓰기에서 ‘눈길’을 끌고 한번의 ‘관심’을 받는 것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걸 어떻게 해야 할까요?
콘텐츠를 만드는 선수끼리는 이런 말을 씁니다. 독자의 클릭을 부르기 위해선 머리를 쓰는 정도로는 안 되요. 뇌즙을 짜낼 정도로 고민해 콘텐츠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미이지요. 그런 의미에서 강사 신익수 님은 뇌즙짜기의 달인입니다. 지금까지 뇌즙짜기 작업으로 만들어낸 누적 클릭수만 해도 7억 개, 네이버 여행+주제판 에서 지난 3년간 만들어낸 콘텐츠(블로그, 포스트, 영상) 개수 3만 550개.
신익수님이 네이버 여행+주제판 에서 3만개의 콘텐츠(블로그, 포스트, 영상)를 만드는 동안의 고민은 단 한가지였습니다.
클릭만들기
100만 클릭을 부르는 글쓰기 저자 신익수님은
10년차 기자(매일경제신문 여행ㆍ레저)이자, 네이버 여행+주제판 콘텐츠 팀장으로 수많은 콘텐츠를 만들고, 보니 이제 딱 보면 (콘텐츠가) 터질지 안터질지가 보인다고 합니다.
클릭을 부르는 글, 형식, 심지어 독자들이 열광하는 키워드, 제목, 문장, 업로드 골든타임까지 꿰뚫어버린 그는 여행 전문기자에서 글쓰기 전문기자로, 그것도 일반 글쓰기가 아닌, 정확히 말하면 온라인(모바일) 플랫폼 글쓰기전문가로 자신의 노하우를 아낌없이 나누고 있습니다.
서당개는 3년 만에 풍월을 읊는다. 네이버 주제판 운영 3년째에 접어드니 ‘광클(원래 빛의 속도로 클릭이라는 의미인데 나는 미친 클릭이라 부른다)‘이 보인다. 믿기지 않겠지만 진짜다. 거의 신내림 수준이다. 척 보면 안나. 이건 시간당 클릭 5,000짜리, 저건 시간당 1만 짜리. 오, 이건 딱 사흘이면 100만(클릭) 나오겠다. 뭐 이런 식. 맞냐고? 칼이다.
이걸 빅데이터로 증명하는 날이 주간 클릭분석 회의다. 여행+팀은 매주 월요일 이 회의를 연다. 주제는 하나다. 광클을 부르는 콘텐츠 키워드 분석. 말하자면 이런 거다. 이 단어(키워드)만 넣어도 클릭이 10만은 올라가. 제목을 이렇게 바꿨으면 20만 클릭은 더 나왔겠네. 이런 식.
그러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클릭뽐뿌 글쓰기 비법을 정리하면 어떨까. 그래서 나온 게『100만 클릭을 부르는 글쓰기』
그리고 픗픗은 이 책에 나온 비법들을 1시간 30분 안에 정리해 내가 어떤 문제점을 갖고 있는지, 어떻게 훈련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강의를 만들었다.
미친 듯 뇌즙을 짠 클릭의 신들이 만든 ‘실전 광클 글쓰기 바이블’. 그 동안 만든 3만 개 이상의 블로그, 포스트 제작 노하우를 담았다. 심지어 유튜브 제작에도 써먹을 수 있는
요즘 글쓰기의 정석이라고 보면 된다.
그러니 말랑말랑한, 시중 서점에 널린 일반 글쓰기 교과서는 던져버리시길. 플랫폼 글쓰기는 접근법부터가 달라야 한다. 무조건 실전 위주여야 한다. 블로그/포스트/유튜브, 온라인 플랫폼 세상은 냉혹하다.
클릭 아니면 무시
손끝의 간택을 받지 못하면 글 자체의 존재 이유가 없다.
시중 글쓰기 교과서의 가르침, 그러니깐 말랑말랑한 이외수식 글쓰기 공중부양 노하우나 박종인식 기자의 글쓰기, 이문열식 우아한 만연체로 무장하고 이 세계에 뛰어들었다간, 그야말로 순삭(순식간에 삭제). 이런 살벌한 세계에서 손가락 클릭의 간택을 받기 위한 실전 글쓰기 비기만 담았다. 분명, 이런 소리 하는 분들도 있을 게다. 이게 무슨 글쓰기냐. 전문기자라면서 이런 글쓰기 방식이 말이 되냐고.
미안하지만, 말이 된다. 왜냐? 먹히니깐.
정통 글쓰기에선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초간편, 초얍실, 초스피드의 모바일 글쓰기 방식에 수백만, 수억만의 엄지족들이 열광한다. 그래서 감히 조언 드린다. 고상한 글, 멋진 글, 무게감 있고 진중한 글 쓰고 싶은 분들은 이 책, 이 강의와는 맞지 않는다고.
블로그, 포스트, 유튜브, SNS에서 먹히는 글쓰기법은 정통 글쓰기법과 완전 다릅니다. 독자는 문체가 수려하고, 정직한 내용이 많다고 해서 클릭하지 않아요. 재미없고 필요한 것 아니면 눈길도 안줍니다. 당연히 메인에 픽(Pick)되지도 않지요.
그러니 뭔가 특별한 기술이 있어야 합니다. 이를테면, 포스팅은 최소 매일 1개씩, 주제는 하나의 큰 줄기를 잡고 뻗어 나가야 합니다. 제목은 독자들 궁금증 유발시키게 특별한 조사, 부사 좀 넣어주고 본문은 600자로 확 줄여야 합니다. 포스팅에서는 경어체+구어체 섞어서 정보와 재미, 한 8:2비율을 맞추는 거지요. 업로드도 메인에 픽되기 쉬운 시간대를 공략해야 합니다.
수많은 블로거, 인스타그래머, 유튜버 등은 모두 클릭 수 높이는 데 혈안입니다. 특별한 비법이 없으면 주목받기 절대 불가능해요. 이 강의는 글쓰기 노하우를 꾹꾹 담아 놨습니다.
❤️이 강의의 장점은
"절대로, 의외로, 함부로만 붙여도 10만 클릭이 올라갑니다. 그냥 '수영하면 안되는/위험한 해변 5곳'에다 '절대로'만 붙였는데 클릭이 폭발했어요. 도발하고, 자극하는 것도 제목에 붙이면, 효과가 좋아요. "여행 싸게 가는 꿀팁" 이렇게 쓰는 것은 너무 평범하죠. '당신만 모르는' 이게 붙으면? 어떻게 될까요? 클릭이 안나올때 쓰는 응급 처방입니다."
👉🏻강의안내
👉🏻기업교육안내
👉🏻결제안내
👉🏻취소·환불 안내